본문 바로가기
건강

뇌졸증의 증상과 쓰러졌을 경우 조치방법

by 저푸른바다 2023. 10. 29.

반응형

뇌졸중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입니다. 뇌졸중은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전조증상을 알아두고 빠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뇌졸증의 증상과 쓰러졌을 경우 조치방법

뇌졸증 증상

뇌졸중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몸의 한쪽이나 얼굴의 한쪽이 마비되거나 감각이 없어지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손바닥을 들어보거나 미소를 지어보는 등의 검사를 해볼 수 있습니다. 또한 말이 어눌해지거나 말을 못 하거나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간단한 문장을 말하거나 듣게 해 보는 검사를 해볼 수 있습니다.

 

시야가 좁아지거나 사물이 겹쳐 보이는기도 하고   뇌출혈로 인한 뇌압 상승 때문에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는 일반적인 두통과 달리 갑자기 심하게 찾아오고, 구토나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의 검사방법과 치료방법

검사방법

 뇌졸증이 의심되는 경우, 응급실로 이송되어 뇌의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를 받게 됩니다.

* 뇌전산화단층촬영(CT): 뇌의 구조적 이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로, 뇌혈관의 막힘이나 터짐, 뇌출혈의 위치와 크기, 뇌부종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자기공명영상(MRI): 뇌의 세포 수준에서의 손상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로, 뇌졸중의 정도와 종류, 손상된 뇌조직의 범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뇌혈관조영술(angiography): 혈관에 특수한 염료를 주입하고 X-선 촬영을 통해 혈관의 형태와 혈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검사로, 혈관의 협착이나 폐색, 기형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치료방법

뇌졸중의 치료방법은 뇌졸중의 종류와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방법은 혈전용해제 투여와 혈관중재술이 있습니다.

 

혈전용해제: 뇌혈관이 막힌 경우, 혈전을 용해하는 약물을 투여하여 혈류를 회복시키는 치료입니다. 이 치료는 뇌졸중 발생 후 4.5시간 이내에 시행해야 효과가 있으므로, 빠른 진단과 의사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혈관중재술: 혈전용해제가 효과가 없거나 시간이 지난 경우, 혈관 내에 기구를 삽입하여 혈전을 제거하거나 혈관을 확장하는 치료입니다. 이 치료는 뇌졸중 발생 후 24시간 이내에 시행해야 효과가 있으며, 전문적인 장비와 인력이 필요합니다. 

 

수술: 뇌출혈이나 뇌부종이 심한 경우, 두개골을 절개하여 출혈 부위를 제거하거나 압력을 감소시키는 치료입니다. 이 치료는 위험이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재활치료: 뇌졸중으로 인해 발생한 신체적이나 정신적인 장애를 회복하기 위해, 물리치료, 작업치료, 언어치료 등을 시행하는 치료입니다. 이 치료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진행해야 효과가 있으며, 환자와 보호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뇌졸중으로 쓰러진 경우에 조치방법
  1. 신속하게 119에 연락하고 환자를 응급실로 이송합니다. 뇌졸중은 발병 후 2∼3시간 내에 응급치료를 받아야 후유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환자가 의식이 없을 경우 몸을 조이는 넥타이·벨트 등을 푼 후 편하게 눕힙니다. 토하는 경우 토사물이 기도로 넘어가지 않도록 누운 상태로 얼굴을 옆으로 돌려줍니다. 
  3. 정신을 잃은 환자에게 찬물을 끼얹거나 손을 따는 등의 민간요법은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특히 우황청심환 같은 약이나 물을 억지로 먹이려고 하다가는 기도로 넘어가 질식이나 흡인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4. 병원에서 CT, MRI, MRA 등의 검사를 통해 뇌출혈 또는 뇌경색 여부를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습니다. 치료방법은 혈전용해제, 혈관중재술, 수술, 재활치료 등이 있습니다.

2023.10.29 - [건강] - 뇌경색 , 뇌출혈 어떤게 더 위험할까? 구분하는 방법